public bigdata

1강 데이터 저널리즘 개론 19.03.31 본문

개인/독서

1강 데이터 저널리즘 개론 19.03.31

public bigdata 2019. 3. 31. 13:59

1. 데이터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 '데이터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는 다양한 답이 있다. 답변의 목적과 답하는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 데이터 저널리즘 핸드북에서 폴 브래드쇼는 데이터 저널리즘이란 '간단히 말해 데이터를 다룬 저널리즘이다'라고 말하며 그것으로는 데이터 저널리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 알렉산더 벤자민 하워드는 본인의 저서 <데이터 저널리즘-스토리텔링의 과학>에서 '저널리즘에 ㄷ데이터 과학을 적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합니다. 

※ 위와 같이 여러가지 해석이 존재한다.

 

2. 데이터 저널리즘은 공개다

  • 1. 데이터 뉴스는 콘텐츠를 시각화한다.(기사에 담지 못한 콘텐츠의 세부 정보를 추가 제공)

  • 2. 데이터 뉴스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합니다.(DB구축, 이를 토대로 이용자가 관련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유도)

  • 3. 데이터 뉴스는 데이터의 출처와 수집 자료를 공개(뉴스 제작 과정과 원자료의 투명성, 기사와의 관점 비교)

2016년 국내 학술 연구 중 '데이터 뉴스의 특성과 개념 정의에 대한 연구(김진희, 임종섭 2016)'에서 데이터 저널리즘 시상식에서 수상한 콘텐츠들의 특성을 분석해 데이터 저널리즘의 개념을 정리한 바 있습니다.(위의 3가지 정의)

 

3. 데이터 저널리즘은 과학이다

> 연구자가 실험과 관찰을 통해 확인 사실이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정확이 동일한 결과를 재현/반복될 수 있는 것을 과학으로 인정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저널리즘은 데이터를 수집, 분석에 그치지 않고 이를 공개해 누구나 공개된 자료를 통해 결과를 재현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데이터 저널리즘은 뉴스가 과학이 되는 것입니다.

 

4. 데이터 저널리즘은 현장취재가 필수다.

> 데이터 저널리즘 보도는 반드시 현장 취재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 (인포그래픽, 데이터 과학 등과 다른 이유)

CPI의 데이터 에디터였던 데이비드 도널드는 '데이터는 취재의 시작일 뿐이다'라고 말합니다.

 

> 뉴스타파의 사례로는 가짜 학술지 '와셋'에 대한 보도가 그렇다. 가짜 학술단체 웹사이트의 자료를 수집하는 것 부터 학술대회 개최 이력과 게제 논문을 수집하고 그 안에서 참석자와 발표자의 이름과 소속 등을 추출해 분석했다. 단순히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폭로하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현장 취재를 통해 한국 학자들이 가짜 학술대회의 단골이 될 수밖에 없었던 제도적, 사회문화적 원인들을 밝혀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알 권리를 위해 뉴스타파가 수집한 원데이터를 공개하였습니다. 

뉴스타파 홈페이지 캡쳐

5. 뉴스타파와 데이터 저널리즘

> 데이터 저널리즘은 특별하거나 새롭지 않습니다. 데이터를 활용한 보도는 1800년대에도 있었습니다 (The first Guardian data journalism: May 5, 1821)

 

The first Guardian data journalism: May 5, 1821

It was the first ever issue of the Guardian - and our first attempt at data journalism. See what happened

www.theguardian.com

> 뉴스타파는 비영리 독립언론이다. 뉴스타파는 좋은 보도를 하기 위해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저널리즘을 지향합니다. 리서치, 정보공개 청구, 정제와 분석, 시각화, 오픈 데이터 활용은 뉴스타파의 더 나은 저널리즘을 위한 노력입니다.

 

<상기 내용은 뉴스타파 데이터 저널리즘 온라인 강의 내용을 개인적 학습을 위하여 정리한 것 입니다.>

'개인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가지 인생의 법칙(조던 피더슨)  (1) 2020.01.01
우린 너무 몰랐다  (0) 2019.05.21
[스터디 3주차]  (0) 2018.08.06
[독서] 기억이 사라지는 시대  (0) 2018.07.26
자주틀리는 맞춤법^^  (0) 2018.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