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4DS
- 비행기 추락
- 비선형성
- 산입범위
- 선형성
- R 기초
- 인터스텔라
- 유닛테스트
- 산입 범위
- t-test
- 멘탈관리
- 성악설
- 통계 오류
- 아인슈타인
- R 프로그래밍
- 통계오류
- 자기관리
- 비율
- t검정
- 동전 던지기
- 찬물샤워
- 최저시급 개정안
- 이기적 유전자
- 핵 개발
- 최저 시급
- 큰수의 법칙
- 핵개발
- 티모시페리스
- 조던피더슨
- 수학적 사고
- Today
- Total
목록개인/자기계발 모음 (26)
public bigdata
https://www.youtube.com/watch?v=CBakCsHZaIM
https://www.youtube.com/watch?v=5_gRHE7S0E0
1. 내가 이 분야에서 잘 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 대한 조언 2. 고정관념은 우리의 가능성에 자물쇠 3. '언락' 저자이자 스탠퍼드 교육대학원 교수 조 볼러 4. 우리의 뇌는 고정되어있지 않다(신경가소성) 5. 자신만의 신경경로 개발 -> 잠재력 측면 6. 아직이라는 표현을 통해 가능성의 기회 확보 7. 실패할때 -> 뇌가 성장하는 시점(시냅스 점화) 8. 틀리는것을 두려워 말라 -> 뇌 신경회로 활성화 9. 교육관점 : 학생에게 실수를 통해 성장할 수 있음을 교육 https://youtu.be/P2rpSiACoVQ 하루에 10시간 이상 지치지 않고 공부하는 방법 (1) 나는 당신이 그것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2) 나는 당신이 그것을 시도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도 그렇게 많이 공부할 ..
https://www.youtube.com/watch?v=RsH5ExBHL6k > 다양한 정보, 손쉽게 쾌락을 접할 수 있게 되면서 나 자신의 바운더리를 지키지 못하게 된다. 즉. 내가 계획한대로 실행하지 못하고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고 점점 더 혼자가 되는 것이다. 우리 다음 세대는 우리보다 더 잘 대응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과도기에 있고 나 자신의 바운더리를 만들어서 외부의 반응은 적절한 수준으로 줄이고 내가 계획한대로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 모든 사람이 성공을 원하지만, 최대한 빨리 젊을 때 성공하고자 한다. 60세에 하버드에 가고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 우리가 나름 열심히 하는데도 힘든 이유가 노력을 덜해서가 아니다. 언제까지 해야 성공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힘든 것이다. > 그러나 이런 노력들이 헛되지 않다. 로저페더러의 경우 어릴 때 여러 운동들을 하면서 어느 운동도 제대로 하지 못했다. 결국 테니스의 황제가 됐다. > 이것저것 해보는 기간 즉. 샘플링 기간을 겪어야 한 분야에서 정체기를 극복하고 최고가 될 가능성도 올라간다. > 환경에는 두가지가 있다. 골프는 친절한 환경의 대명사이다. 규칙이 확실하고 목표가 명확하다. 다른 하나는 열악한 환경이다. 패턴이 확실하지 않고 피드백이 즉각적이지 않다. 이런 환경에서 경험의 폭..

Part1 > 자기 자신과 더 이상 싸우지 마라. 스스로 부족해서 더 나아가야 된다고 생각하면 실패하게 되어 있다. 깨달아야 될 것은 내가 부족하지 않다는 것이다. 내 부족함이 개념적인 실체뿐이다. 내 자신과 싸울수록 내가 부족해지는 것이고, 나 자신과 싸움을 그만두고 나 자신을 그대로 받아들이면 더 이상 자기계발을 할 필요가 없다. 이미 모든 것을 계발했다. > 더 이상 더 좋은 공부방법, 더 나은 삶을 계속해서 추구하면서 무한정 부족한 나를 채우려고 하지 말자.. 나 자체로 부족한 것이 없고.. 무엇을 이룬다고, 무엇을 이루지 못한다고 해서 내가 부족하거나 더 나은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니다. 한 가지를 더 배우면서 완전한 나 자신에게 새로운 기능을 덧붙이는 것이지. 부족한 나를 채우는 것이 아니다. ..
1. 스스로에 대해서 난 게을러라고 생각한다. -> 생각이 많고 기준이 높아서 엄두가 나지 않는다. 그래서 마지막에 스퍼트를 낸다.? 2. 15분단위로 계획세우기. 3. 변화라는건 180도 변하는 게 아니다. 나의 기준에서 조금 바뀌는 게 변화다. ' 4. 5, 4, 3, 2, 1, 시작하기(1, 2, 3, 4, 5는 숫자가 커져서 부담이 됨)

Part1 Part2 나의 완벽주의 성향 www.perfect4.co.kr/result.html?res=safety&v1=80&v2=70&v3=90&v4=20&v5=100 [완벽주의 성향 테스트] 24문항으로 이루어진 테스트를 통해 완벽주의자 성향을 도표로 보실 수 있습니다. www.perfect4.co.kr 방탄조끼 안전 지향형 특징 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622592&memberNo=909494 9회. 방탄조끼 안전지향형 완벽주의 [BY 흐름출판] 방탄조끼안전지향형 완벽주의 신중하고 성실해서 한국 사회에서 가장 환영받지만 안전과 ... m.post.naver.com 안전지향형 완벽주의자를 대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이 있다. 바로 이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