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티모시페리스
- 비율
- 비선형성
- 찬물샤워
- 핵 개발
- R4DS
- R 기초
- 이기적 유전자
- 성악설
- 비행기 추락
- 동전 던지기
- 통계오류
- 자기관리
- 산입범위
- R 프로그래밍
- 인터스텔라
- 큰수의 법칙
- 산입 범위
- t-test
- 유닛테스트
- 최저 시급
- 통계 오류
- 수학적 사고
- 최저시급 개정안
- t검정
- 조던피더슨
- 아인슈타인
- 선형성
- 핵개발
- 멘탈관리
- Today
- Total
public bigdata
[이리앨] - 이것저것 하는 것은 많은데 정작 이룬 것은 없을 때 봐야하는 영상 본문
> 모든 사람이 성공을 원하지만, 최대한 빨리 젊을 때 성공하고자 한다. 60세에 하버드에 가고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 우리가 나름 열심히 하는데도 힘든 이유가 노력을 덜해서가 아니다. 언제까지 해야 성공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힘든 것이다.
> 그러나 이런 노력들이 헛되지 않다. 로저페더러의 경우 어릴 때 여러 운동들을 하면서 어느 운동도 제대로 하지 못했다. 결국 테니스의 황제가 됐다.
> 이것저것 해보는 기간 즉. 샘플링 기간을 겪어야 한 분야에서 정체기를 극복하고 최고가 될 가능성도 올라간다.
> 환경에는 두가지가 있다. 골프는 친절한 환경의 대명사이다. 규칙이 확실하고 목표가 명확하다. 다른 하나는 열악한 환경이다. 패턴이 확실하지 않고 피드백이 즉각적이지 않다. 이런 환경에서 경험의 폭이 날개를 단다.
> 우리는 평균이 아니라 예외에만 주목한다. 젊은 나이에 성공한 it 기업 창립자.. 주커버그, 빌게이츠 등등.. 그러나 미국 실리콘밸리의 it벤처기업 창립자의 평균 나이는 45세이다. 즉. 평균적으로는 샘플링 기간이 있고 나서 성공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말이다.
> 결론적으로 우리가 이것저것 하면서 시간을 낭비한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어떤식으로든 나의 삶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물론 처음부터 하나의 전문가로서 장인의 길을 걷는 것에는 뒤처지는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일찍 전문가가 되는 경우에 일찍 그만두는 경우가 많고 늦게 시작한 전문가는 비교적 오래까지 커리어를 수행한다. 이를 고려해본다면 전혀 뒤처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고, 내가 노력을 기울이고 관심을 기울이는 것들이 나의 인생에 항상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개인 > 자기계발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리앨] - 꿈을 이루고 싶다면 목표를 쪼개야 합니다 (0) | 2021.06.16 |
---|---|
[이리앨] - 뇌를 망치는 사소한 습관 (0) | 2021.06.04 |
[이리앨] - 5년간 사기까지 당해본 자기계발 덕후, 이제 해결책을 줄게 (0) | 2021.05.11 |
[이동귀 교수] - 저만 게으른건가요? 게으름을 극복하는 현실적인 방법 | 심리학자 이동귀 | 불안 우울 완벽주의 (0) | 2021.05.11 |
[이동귀 교수] - 계획만 세우고 실천하지 않는 당신에게 필요한 대답 (이동귀 교수)+완벽주의 성향 (0) | 2021.04.23 |